개발/DICOM 이야기

01.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이란? 의료 영상 표준 파일의 정의와 역할

devbake 2025. 7. 28. 18:39

DICOM이란? – 의료 영상의 표준 언어

병원에서 찍은 MRI나 CT 이미지를 USB에 담아서 가져온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그 파일을 열어보면 일반적인 이미지 뷰어로는 열리지 않고, 파일 확장자도 익숙하지 않은 .dcm으로 되어 있다.

왜 이런 형식이 존재할까? 그리고 이 파일들은 병원 간에 어떻게 공유되고, 진료 시스템과 어떻게 연결되는 걸까?
이 질문의 중심에는 바로 의료 영상의 표준 언어,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이 있다.
DICOM은 단순한 파일 형식이 아니라, 의료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주고받기 위한 국제 표준으로, 의료 현장에서의 영상 데이터 교환과 해석을 위한 필수 시스템이다.
이 글에서는 DICOM의 정의, 역할, 구성 요소를 이해하고 왜 이 표준이 만들어졌는지를 실제 의료 환경과 연관 지어 살펴본다.

의료 영상 표준 파일 -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이란?

 1. DICOM의 정의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은
미국 방사선학회(ACR)와 미국 국립전기제조협회(NEMA)가 공동으로 개발한 의료 영상 저장 및 통신을 위한 국제 표준이다.
쉽게 말하면, CT, MRI, X-ray, 초음파 등 다양한 의료 영상 장비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동일한 방식으로 저장하고 주고받기 위한 약속이다.

✅ 핵심 포인트

  • 파일 포맷 + 통신 프로토콜을 모두 포함한 포괄적인 표준이다.
  • .dcm 확장자를 사용한다.
  • 의료기관 간 영상 정보 전송, PACS 시스템, 진료 기록 연동에 필수적이다.

 2. DICOM이 필요한 이유

의료 영상 장비는 제조사마다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다르다.
GE, Siemens, Philips 등 다양한 업체에서 만든 MRI나 CT 장비가 각기 다른 포맷으로 데이터를 저장한다면, 병원 간 자료 공유나 협업이 불가능해진다.

예시 상황

  • A 병원에서 촬영한 MRI를 B 병원에서 보기 위해선 호환성 확보가 필수
  • 진료 시스템(HIS)과 PACS 간 연결을 위해선 동일한 데이터 형식 필요

➡️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든 장비가 같은 표준을 따르도록 만든 것이 DICOM이다.


3. DICOM이 다루는 범위

DICOM은 단순히 파일 형식만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의료 영상 데이터 전 과정을 포괄한다.

범주설명
📁 저장 픽셀 데이터(이미지) + 메타데이터(환자 정보, 검사 정보 등) 저장
📤 전송 병원 간, 장비 간 이미지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 정의
📡 통신 장비 간 연결(C-FIND, C-MOVE, C-STORE 등의 명령)
🔒 보안 익명화 및 민감 정보 처리 관련 규약 포함
 

4. DICOM과 일반 이미지 파일의 차이점

항목DICOM (.dcm)일반 이미지 (.jpg, .png)
이미지 외 정보 포함 ✅ (환자, 검사 정보 포함)
의료 장비 호환성 ✅ (국제 표준 준수)
진단용 사용
일반 뷰어로 보기
 

DICOM 파일은 이미지 외에도 환자의 이름, 나이, 성별, 검사 일시, 촬영 장비 정보 등
진료와 연관된 다양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어서 단순한 그림 파일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5. DICOM은 어디에 사용되는가?

  • 병원 내 PACS 시스템
  • 원격 판독 시스템
  • 연구용 의료 데이터셋
  • 인공지능 학습용 의료영상
  • 의료 영상 진단 장비(촬영, 보관, 조회 등)

📌 요즘은 AI 기반 판독 솔루션에서도 DICOM을 그대로 사용하며, 딥러닝 학습용 데이터 전처리에서도 .dcm 파일을 직접 다루는 경우가 많다.


결론

DICOM은 단순한 이미지 파일이 아니라, 의료 영상의 저장, 전송, 통신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국제 표준 시스템이다.
이 표준 덕분에 환자의 영상 자료가 어느 병원에서도 열리고 PACS와 AI 분석 시스템이 연동될 수 있다.
의료 영상 데이터를 제대로 이해하고 다루려면 DICOM의 개념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앞으로 이어질 시리즈에서는 DICOM의 내부 구조, 파일 포맷, 태그 분석, 뷰어 사용법 등을 차근차근 다뤄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