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6

06. DICOM 태그란 무엇인가 – 태그, VR, Length 이해하기

DICOM 파일을 분석하거나 뷰어에서 태그 정보를 확인하다 보면 (0010,0010), (7FE0,0010)과 같은 생소한 숫자 조합을 자주 마주하게 된다. 처음에는 단순한 코드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 숫자들은 DICOM 데이터에서 각 정보를 식별하는 ‘태그(Tag)’다.태그는 환자의 이름, 검사 일자, 이미지 픽셀 정보처럼 모든 의료 영상 데이터를 구분하는 고유한 주소와 같은 역할을 한다.하지만 태그만으로는 정보를 완전히 해석할 수 없다. 태그는 항상 VR(Value Representation)과 Length라는 속성과 함께 해석되어야 의미가 완성된다.이번 글에서는 DICOM 태그의 구조, VR의 종류, Length가 어떤 식으로 작동하는지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정리한다. 1. DICOM 태그란 무엇..

05. DICOM 객체(Object)와 데이터 요소(Data Element)

DICOM 파일은 단순한 의료 이미지가 아니다. 그 안에는 영상, 환자 정보, 검사 정보, 장비 정보 등 수많은 데이터가 함께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는 아무렇게나 저장된 것이 아니라, 객체(Object) 단위로 나뉘고, 각각의 객체는 여러 개의 데이터 요소(Data Element)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한 명의 환자에 대한 CT 검사 결과는 하나의 DICOM 객체로 저장되며, 이 객체 안에는 환자 이름, 검사 일시, 영상 해상도, 촬영 장비 정보 등 수십 개의 데이터 요소가 포함된다.이번 글에서는 DICOM에서 객체와 데이터 요소가 무엇인지, 이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고, 실무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를 이해하면 DICOM 파일을 읽고 분석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

04. DICOM의 기본 구조 – File Format과 Meta Information

DICOM 파일은 단순한 이미지 파일이 아니다. '.dcm' 확장자를 가진 이 파일 안에는 의료 영상 자체뿐만 아니라, 환자 정보, 검사 정보, 장비 정보 등 다양한 메타데이터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표면적으로는 한 장의 CT나 MRI 이미지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수백 개의 "데이터 요소(Data Element)"가 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복잡한 구조 덕분에 의료기관은 DICOM 파일 하나만으로 영상 확인, 환자 식별, 검사 이력 추적까지 가능하다.이번 글에서는 DICOM 파일의 전체적인 구조를 구성하는 핵심 개념인 File Format(파일 포맷)과 Meta Information(메타정보)에 대해 실무자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한다. 1. DICOM 파일은 어떻게 구성되는가DICOM 파일..

03. DICOM vs HL7 – 의료 정보 표준 비교

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때, 우리는 다양한 의료 정보를 경험하게 된다. 의사의 진단 내용, 약 처방, 검사 결과는 텍스트 기반의 정보로 제공되고, CT나 MRI 같은 영상 검사는 이미지 기반의 정보로 제공된다. 그런데 이 모든 정보가 서로 다른 장비와 시스템에서 만들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전자의무기록(EHR) 시스템 안에서 통합적으로 관리된다. 이 통합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바로 의료 정보 표준이며, 그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두 가지가 DICOM과 HL7이다.많은 의료 IT 입문자들이 DICOM과 HL7을 혼동하거나 동일한 범주의 기술로 오해하지만, 실제로는 목적, 형식, 데이터 처리 방식이 전혀 다른 표준이다.이번 글에서는 DICOM과 HL7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각각이 병원 내에서 어떤..

02. DICOM의 역사와 필요성 – PACS 도입 전후의 변화

오늘날 병원에서 진료를 받으면 의사가 클릭 몇 번으로 CT나 MRI 영상을 즉시 열어보는 것이 자연스럽게 느껴진다. 하지만 불과 수십 년 전만 해도 병원에서 촬영한 의료 영상은 필름 형태로 인화하여 전달되었고, 다른 병원으로 자료를 보내기 위해서는 직접 들고 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영상 자료가 디지털로 전환되면서 새로운 문제가 발생했다. 제조사마다 포맷이 달라 서로 호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DICOM이다.이번 글에서는 DICOM이 등장하게 된 역사적 배경과, 왜 의료 영상 분야에 DICOM이 필수적인 표준이 되었는지를 PACS 시스템과 연관 지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1. PACS 이전의 의료 영상 환경DICOM이 등장하기 전, 병원에서는 **필름(Fil..

01.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이란? 의료 영상 표준 파일의 정의와 역할

DICOM이란? – 의료 영상의 표준 언어병원에서 찍은 MRI나 CT 이미지를 USB에 담아서 가져온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그 파일을 열어보면 일반적인 이미지 뷰어로는 열리지 않고, 파일 확장자도 익숙하지 않은 .dcm으로 되어 있다.왜 이런 형식이 존재할까? 그리고 이 파일들은 병원 간에 어떻게 공유되고, 진료 시스템과 어떻게 연결되는 걸까?이 질문의 중심에는 바로 의료 영상의 표준 언어,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이 있다.DICOM은 단순한 파일 형식이 아니라, 의료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주고받기 위한 국제 표준으로, 의료 현장에서의 영상 데이터 교환과 해석을 위한 필수 시스템이다.이 글에서는 DICOM의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