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1 4

28. 국내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PACS 구조의 실태와 특징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는 병원 내 진단 영상의 저장, 조회, 전송을 담당하는 핵심 시스템이다.국내 병원 대부분은 이미 디지털 영상 기반 진료 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CT, MRI, X-ray와 같은 장비에서 생성된 영상은 모두 PACS를 통해 관리된다. 하지만 병원 규모, 운영 방식, 보안 요건, 연동 시스템 구조에 따라 PACS의 도입 형태와 운영 방식은 매우 다양하다. 특히 국내의 경우 의료보험 체계와 인증 기준, 법적 요구사항, 외산 PACS와 국산 PACS의 점유율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PACS 구축·운영 방식이 외국과는 다른 독자적인 구조로 진화해왔다.이번 글에서는 국내 병원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PACS의 구조적 특징, 구성 요소..

27. 의료 IT 신입을 위한 DICOM 학습 로드맵

의료 IT, 헬스케어 AI, 병원정보시스템 분야에 처음 입문한 사람이라면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는 기술 중 하나가 바로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이다. DICOM은 의료 영상의 저장 및 통신을 위한 국제 표준으로, 병원 내 모든 CT, MRI, X-ray 장비와 PACS 서버, 영상 뷰어, AI 분석 도구 등이 이 표준 위에서 작동한다.하지만 처음 접하는 입장에서는 이 구조가 다소 복잡하고, DICOM 태그, UID, C-STORE, C-FIND 등 생소한 용어들 때문에 진입 장벽이 높게 느껴지기 쉽다.이번 글에서는 의료 IT 신입 개발자, 인턴, 비전공자를 위해 DICOM을 체계적으로 학습하는 로드맵을 제시하며, 추천 자료, 실습 도..

26. 실제 병원에서 DICOM이 활용되는 사례 분석

DICOM은 의료영상의 표준 포맷이자 통신 프로토콜이지만, 그 실질적인 가치는 병원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의료진이 사용하는 영상 뷰어, 방사선과의 AI 분석 도구, 수술실 실시간 영상 송출, 원격 협진 시스템까지 모두 DICOM 기반의 구조 위에서 동작한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들이 환자 등록 → 검사 오더 → 촬영 → 저장 → 열람 → 분석까지 모든 과정을 어떻게 연결하고 자동화하는지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다.이번 글에서는 대형 병원과 중소병원에서 실제로 적용되고 있는 DICOM 기반 영상 활용 사례를 구조도와 함께 정리하여, 의료 IT 담당자 및 개발자에게 실무적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1. 영상 진단과 PACS 뷰어병원 진료 흐름의사가 외래에서 CT 검사 오더 생성 ..

25. 의료영상 디지털화 흐름과 DICOM의 미래

의료 영상의 역사는 단순한 필름 사진에서 시작되었지만, 오늘날에는 수많은 디지털 장비와 시스템이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분석하며 이를 병원 내외부에서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이 변화의 핵심에는 의료영상의 디지털화(Digitization)가 있으며, 이 흐름을 가능하게 만든 표준이 바로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이다. 하지만 디지털화가 완성되었다고 보기에는 이르다. 여전히 PACS 간 상호운용 문제, 클라우드 이식성, AI 모델 통합 어려움, 그리고 DICOM 포맷의 유연성 부족 등 다양한 과제가 남아 있다.이 글에서는 의료영상 디지털화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조망하고, DICOM 표준이 어떤 방향으로 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