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에서 CT나 MRI 검사를 받은 환자에게는 종종 CD나 USB 형태로 검사 이미지가 제공된다.
하지만 그 안의 파일을 열어보려 하면 익숙한 JPG나 PNG 형식이 아니라 .dcm이라는 생소한 확장자가 등장하고, 어떤 프로그램으로도 열리지 않는 당혹스러운 상황을 경험하게 된다. 이런 파일은 단순한 이미지가 아니라, 의료 영상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저장한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형식이다.
DICOM은 영상뿐 아니라 환자 정보, 검사 정보, 장비 정보까지 통합적으로 담고 있기 때문에 일반 이미지 뷰어나 사진 편집 프로그램으로는 볼 수 없고, 특정한 뷰어 또는 전용 해석 도구가 필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DICOM 파일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왜 일반 파일과 다른지를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나씩 풀어 설명한다.
1. DICOM이란 무엇인가?
DICOM은 의료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로 저장하고 교환하기 위한 국제 표준이다.
1985년 미국 방사선학회(RSNA)와 NEMA가 공동으로 개발했으며, 현재는 전 세계 병원에서 CT, MRI, X-ray, 초음파 등 대부분의 영상 장비가 이 형식을 사용한다.
의료영상의 JPG + 메타데이터 + 통신규약이 결합된 형태라고 이해하면 쉽다.
즉, 단순 이미지 파일이 아니라 "디지털 의료 영상 문서"에 가깝다.
2. DICOM 파일 확장자와 구조
확장자: .dcm
- 대부분 .dcm 확장자를 사용하지만, 일부 PACS 시스템에서는 확장자를 생략하기도 한다.
- Windows나 Mac에서는 기본적으로 미지원되는 포맷이다.
내부 구조
DICOM 파일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 Header (메타데이터 영역)
- 환자 이름, 생년월일, 검사 일자, 장비 정보 등
- Key-Value 형태로 정리된 "DICOM 태그" 구조
- Pixel Data (영상 영역)
- 실제 영상 데이터 (2D 또는 3D 이미지 픽셀 배열)
- 무압축 또는 JPEG2000, RLE 등으로 압축된 경우도 있음
📌 DICOM 파일은 일반 이미지 파일과는 다르게, 한 파일 안에 환자 정보 + 영상 + 진단 관련 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있다.
사실 DICOM 파일은 아래 사진의 우측 하단에서 보이듯 수많은 16진수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숫자들을 해석해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Tag, VR, Length, Name, Value, Offset 등)로 환자 정보 및 진단 관련 정보, 그리고 실제 영상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역할을 전용 뷰어가 하는 것이다.
3. 일반 이미지 파일과 DICOM 파일의 차이점
항목 | 일반 이미지 (JPG/PNG) | DICOM 파일 |
확장자 | .jpg, .png | .dcm |
메타데이터 | 해상도, 파일 크기 등 단순 정보 | 환자 이름, 생년월일, 검사 종류 등 진료 관련 정보 포함 |
보안성 | 일반 파일 | 개인정보 포함 – 보안 및 익명화 필요 |
열람 도구 | 윈도우 기본 이미지 뷰어 등 | 전용 DICOM 뷰어 필요 |
표준성 | 단순 이미지 포맷 | 의료영상 국제 표준 (ISO/ANSI 등록) |
4. DICOM 파일은 언제, 어떻게 생성되는가?
병원에서 CT, MRI, 초음파 등의 영상 검사를 하면, 장비(Modality)에서 촬영된 영상은 PACS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이때의 기본 저장 형식이 DICOM이다. 의료기관은 보통 영상검사 데이터를 PACS에 저장하면서, 필요 시 외부 병원이나 환자에게 복사본(CD, USB)을 발급하는데, 그 안에 포함된 것이 바로 DICOM 파일이다.
- CT 1회 검사 = 수십 개의 DICOM 파일 (단면 영상 수 만큼)
- MRI = 복수의 Series와 수백 개의 파일 가능성 있음
- 초음파 = 정지 이미지 또는 영상 클립 형태
📌 DICOM 파일 1개 = 1장의 단면 이미지 + 관련 정보
5. DICOM 파일을 열기 위해 필요한 것
일반 뷰어로는 DICOM 파일을 열 수 없기 때문에 전용 프로그램 또는 웹 뷰어가 필요하다.
다음 편에서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Windows/Mac용 DICOM 뷰어 TOP 5를 비교하여 소개할 예정이다.
간단히 열어보고 싶다면 아래 방법도 가능하다:
- 온라인 뷰어 사용: dicomlibrary.com
- RadiAnt DICOM Viewer 설치 (Windows 전용, 무료 개인용)
- MicroDicom, Weasis, Ginkgo CADx 등
결론
DICOM 파일은 일반적인 이미지 파일과는 달리, 의료 진단을 위한 전문 표준 포맷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데이터와 영상 정보가 함께 담긴 복합 구조이다. 따라서 전용 도구 없이는 열 수 없으며, 그 구조를 이해하고 적절한 뷰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 글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무료 뷰어 프로그램 5종을 비교 분석하고, 어떤 용도에 어떤 뷰어가 적합한지 자세히 안내한다.
'개발 > [입문부터 실습까지] DICOM 파일 열기 & 뷰어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웹에서 DICOM 파일 여는 방법 (설치 없이 분석하기) (3) | 2025.08.03 |
---|---|
2. 무료 DICOM 뷰어 추천 TOP 5 (Windows / Mac용) (0) | 2025.08.03 |